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폐기물관리법 위반'이라는 제목의 문자 또는 전화 연락을 받은 후,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행정처분이 아닌 '환경과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 글에서는 링크 클릭 이후 발생 가능한 피해와 그에 대한 정확한 대응 방법을 정리합니다.
1. 대표 보이스피싱 사칭 사례
1) 검찰·경찰 사칭
문자 예: “당신은 형사 사건에 연루되었습니다. 출석 요청: [링크]”
전화 예: “고객님의 명의로 범죄가 발생했습니다. 수사를 위해 계좌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징: 공포감을 유발한 뒤, ‘조사 협조’를 이유로 금융정보 유도
2) 금융기관 사칭
문자 예: “귀하의 계좌가 이상 거래로 인해 정지되었습니다. 즉시 확인하세요”
전화 예: “카드사입니다. 고객님의 카드가 복제되었습니다. 원격조작이 필요합니다”
특징: 은행·카드사 콜센터처럼 말하지만, 번호가 실제 고객센터가 아님
3) 보건소·질병청 사칭
문자 예: “귀하가 확진자와 밀접 접촉하였습니다. 자가격리 대상입니다. 확인: [링크]”
특징: 건강 정보를 빌미로 앱 설치를 유도 → 악성코드 감염
4) 세무서·국세청 사칭
문자 예: “세금 체납으로 인해 압류 예정입니다. 상세내역: [링크]”
특징: 소액 체납 또는 미신고 세금 등을 빌미로 심리 압박
5) 택배·우체국 사칭
문자 예: “배송 불가로 반송 예정입니다. 확인 바랍니다: [링크]”
특징: 앱 설치 유도 → 휴대폰 전체 정보 탈취
6) 학교·교육청 사칭
문자 예: “자녀가 학교 폭력에 연루되었습니다. 학부모 면담 요청: [링크]”
특징: 자녀의 안전을 빌미로 부모의 긴장감 유발
7) 법원·고소장 사칭
문자 예: “전자소송이 접수되었습니다. 사건번호 확인: [링크]”
특징: 실존하지 않는 사건번호를 보내고 신분증 또는 공인인증서 요구
2. 링크 클릭 후 즉시 해야 할 5단계 대응 절차
문자나 메신저 링크를 실수로 클릭했을 경우, 아래의 순서에 따라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스마트폰에 이상 앱 설치 여부 확인
설정 > 애플리케이션 관리에서, 최근 설치된 앱 목록을 확인합니다.
환경부나 시청 로고가 들어간 앱이 설치되었거나, 알 수 없는 앱이 자동 설치되었을 경우, 즉시 삭제합니다.
앱 권한에서 ‘SMS’, ‘전화’, ‘접근성’ 권한을 요구한 경우 특히 위험합니다.
② 공인인증서 및 금융 앱 점검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외부로 복사된 흔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주요 은행 앱 접속 기록, 로그인 이력 등을 점검하고 비밀번호를 즉시 변경하세요.
③ 모든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
구글, 애플, 네이버, 카카오 등의 로그인 계정을 포함해 스마트폰 전체 보안 설정을 점검하고, 각종 SNS, 금융앱 비밀번호도 함께 변경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④ 피해 예방을 위한 지급정지 요청
만약 송금했거나 계좌 정보를 입력했다면, 즉시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지급정지 요청을 해야 합니다.
지급정지 신청은 피해 확산을 막는 가장 빠른 조치입니다.
⑤ 경찰 및 금융감독원 신고
보이스피싱 의심 정황은 112(보이스피싱 신고센터) 또는 금융감독원 1332에 즉시 신고합니다.
경찰청 사이버수사대나 금융당국을 통해 정식 절차를 밟아 수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공공기관 통지는 어떻게 오는가?
공공기관의 실제 행정처분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 등기우편을 통한 공식 통보
- 과태료 부과 전, 의견 제출 기회 제공
- 납부 계좌는 지자체 또는 환경부 명의의 수납 전용 계좌만 사용
- 문자나 전화로 링크 전달, 개인정보 요구는 없음
즉, 폐기물관리법 위반과 같은 행정 처분은 문자로 링크를 보내는 방식으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결론: 링크 클릭했더라도 대응이 빠르면 피해 막을 수 있다 보이스피싱은 점점 교묘하고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폐기물관리법 위반'이라는 문구와 실제 기관명을 도용해 심리적 공포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지만, 실제 행정기관은 절대 문자로 법적 처분을 통보하지 않습니다.
설령 링크를 클릭했다 하더라도, 즉각적인 보안 점검과 신고 절차를 통해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정부24, 환경부 홈페이지, 지자체 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하고, 개인 정보를 절대 유출하지 마십시오.
![]() |
![]() |
![]() |
![]() |
![]() |
![]() |
![]() |
![]() |
![]() |
![]()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감독원 등기우편 발송 사유: 자동이체, 정산계좌 통보서, 대포통장 (0) | 2025.07.02 |
---|---|
양육비 선지급제 신청 방법|신청 서류 조건부터 기준중위소득 150% (0) | 2025.07.02 |
HUG, LH 든든전세주택 대출실행 후기│ 대출 한도, 소득조건 등 주의사항 (0) | 2025.07.02 |
50·60대 재취업 지게차 자격증|국비지원, 취득 방법, 실기 팁, 연봉, 취업 (0) | 2025.06.27 |
전산회계 1급│50·60대 실무 회계 재취업 자격증 총정리│국비지원, 급여 (0) | 2025.06.27 |